본문 바로가기
4. 복지 혜택 알아보기

2025년 기준 중위소득알아보기 (+6.42%로 역대 최대 인상)

by 삶의재발견 2025. 2. 13.
반응형

직장을 탈출하고 미취업 상태이다 보니 나라의 복지혜택을 찾아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혜택을 받으려면 우리 가정의 소득 기준이 중위소득 대비 몇%에 해당되는지 확인을 하고 있어야 해당되는 혜택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2025 기준 중위소득 알아보기

 

1. 기준 중위소득이란?

중위 소득이란 우리나라의 모든 가구의 소득을 낮은 순서부터 높은 순서대로 나열했을때 정확히 가운데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하고 100%로 표현합니다.

중위소득 (100%)를 기준으로 정부에서는 각종 복지 정책을 결정하고 기준을 삼아 혜택을 줍니다.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6.42%로 역대 최대 인상되었다고 합니다.

 

1) 2025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100%)은 아래표와 같습니다.

출처 : 보건복지부 사이트 (2025 기준 중위소득)

 

2) 2025 가구별 소득기준표 (80%, 100%, 120%, 150%, 180%)

가구원 수 80% 100% (중위소득) 120% 150% 180%
1인 가구 1,913,610 2,392,013 2,870,416 3,588,020 4,305,623
2인 가구 3,146,126 3,932,658 4,719,190 5,898,987 7,065,124
3인 가구 4,020,282 5,025,353 6,030,423 7,538,030 9,045,635
4인 가구 4,878,218 6,097,773 7,317,328 9,146,660 10,975,986
5인 가구 5,686,554 7,108,192 8,529,830 10,662,288 12,794,745
6인 가구 6,451,844 8,064,805 9,677,766 12,097,208 14,516,654
7인 가구 7,190,742 8,988,428 10,786,113 13,482,642 16,179,850
8인 가구 7,929,641 9,912,051 11,894,461 14,868,077 17,841,692

 

2. 중위소득 몇%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방법

 

보건복지부에서 공시한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비율을 계산하면 되는데 여기서 월소득은 세전 소득으로 기본급+각종수당+상여금을 모두 포함한 금액입니다.

 

ex) 4인가구이고 세전 월급이 750만 원이라면

(7,500,000 ÷6,097,73) × 100= 약 123%

 

내 소득이 명확하지 않을 때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소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150% 건강보험료 소득산정기준표

 

건강보험공단에서는 매년 소득기준으로 건강보험표 본인부담금액을 산정하기 때문에 기준중위소득대비 몇%에 해당되는지를 소득산정기준표로 확인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개인의 건강보험료 납부금액은 정부 24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중위소득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

기준 중위소득을 만든 이유는 복지혜택과 지원제도 마련을 위한 것입니다.대표적인 혜택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이하
  •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 주거급여: 중위소득 48% 이하
  •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이하

기타 복지 지원

  • 청년 월세 지원 (중위소득 60% 이하)
  • 보육료 지원 (중위소득 75% 이하)
  •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등 다양한 정부 지원금 활용 가능

기준 중위소득 인상 및 제도개선을 통해 약 7만 1천 명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수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복지로 사이트에 가시면 신청가능한 서비스와 내가 해당이 되는지 모의계산도 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bz/mkclAsis/mkclPage.do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bz/mkclAsis/mkclPage.do

 

www.bokjiro.go.kr


 

지금까지 살펴본 것과 같이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정부 지원 기준이 되는 중요한 수치입니다.

본인의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대비 비율을 확인하시고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미리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위소득 인상 관련 자세한 기사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https://gonggam.korea.kr/newsContentView.es?mid=a10201000000&news_id=aed911dd-e0c0-423a-ba8c-d149eead52ea

 

상세 | 정책돋보기 | 콘텐츠 : K-공감 : 나에게 든든한 정책주간지

K-공감 : 나에게 든든한 정책주간지

gonggamadmin.korea.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