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제가 25년에는 많이 어렵다는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들립니다.
날씨를 예측하듯 경기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나라의 경제의 미래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미리 예상하거나 현재의 경기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경기종합지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경기종합지수란?
경기종합지수란 한 나라의 경기변동을 '점수' 화 하여서 경기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쉽게 비교할 수 있게 만든 경제 지표입니다.
경기종합지수는 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로 구성되어 있고 경기 상황을 잘 반영하는 경제지표인 고용현황, 생산과 소비, 투자등의 지표를 종합해서 점수화한 것입니다.
경기종합지수를 보면 굴곡이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우상향 그래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시간이 지날수록 경기는 우상향 한다는 단순한 결론만 알 수 있는 걸까요?
가장 유용하고 사용되면서 경기의 변동을 알 수 있는 지표로는 '경기 선행지수, 동행지수 순환 변동치' 지표입니다.
2. 경기선행지수란?
비교적 가까운 미래의 경기를 전망하는 지표로 경기변동의 단기 예측에 이용됩니다.
ex) 주식 시장, 소비자 신뢰 등
3. 경기동행지수란?
현재의 경제 상황을 나타내는 지수로 경제활동과 동시적으로 움직이는 지표로 현재 경제 상황을 분석하거나 모니터링 할 때 유용합니다.
ex) 산업 생산, 고용현황 등
4. 경기후행지수란?
실제 경기순환보다 나중에 변동하는 경제지표를 종합해 만든 지표로 현재 경기를 나중에 확인하는데 쓰인다고 합니다.
ex) 소비자 물가, 회사채 유통수익률 등
5. 경기선행 · 동행지수 순환 변동치
앞선 설명의 그래프와 같이 선행종합지수와 동행 종합지수는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상승하는구나 하는 정도의 지식밖에 얻을 수 없지만 과거에 비해 얼마나 증가했고 감소했느냐의 순환 변동치를 보면 경기변화를 더 뚜렷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판단기준은 100입니다.
100을 기준으로 순환변동치가 100을 상회하면 추세이상의 성장을 하고 있고
100을 하회하면 추세이하의 성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0 이상이면 더 성장하여 경기가 호황이고 100 미만이면 경기가 불황이라고 여기는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순환 변동치 그래프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계속적으로 100점을 기준으로 상향, 하향을 반복하는 패턴인데 눈에 띄게 점수가 하락한 시점이 있네요.
1997년 IMF 금융위기는 90점 초반대로 하락했고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 팬더믹 때는 90점 후반 때로 100 이하로 좋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최근까지의 데이터인 2024년 11월 상황을 보면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97.6로 24년 초기부터 계속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선행지수 또한 100 때를 유지하며 좋은 전망은 아닙니다.
특별한 이슈가 없는 시점에서 금융위기와 코로나때와 같은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동일한 지표를 사용합니다.
25년의 경제전망을 대략적으로 유추해 볼 수가 있는데 이렇게 숫자로 파악해 보니 경기상황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추세가 전환되어 상승하면 좋겠다는 바람입니다.
위 데이터는 통계청 정보와 한국은행 사이트를 참조해서 작성했습니다.
'1. 경제 공부 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필수! 공동주택가격확인서 발급 방법과 필요성 (0) | 2025.01.22 |
---|---|
맞벌이 부부의 연말정산 절세전략 (0) | 2025.01.13 |
2025년 달라지는 주요 제도 (feat. 가정 살림에 도움이 되는 정책 살펴보기) (2) | 2025.01.10 |
2025 연말정산 달라진 세법 절세 꿀팁 알아보기 (12) | 2025.01.02 |
2025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차이점은?(feat.주요항목 이해하기) (6) | 2024.12.31 |
2025 연말정산 세액 계산 절차 (feat. 세액계산 Flow Chart) (0) | 2024.12.31 |
2025 연말정산 기간 절차 간소화 서비스 손택스 (feat. 연말정산이란?) (4) | 2024.12.30 |
핀테크(FinTech)란? (핀테크의 의미와 활용사례, 소액투자 알아보기) (3) | 2024.11.28 |